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재테크 하기 - 강제저축하자

by 주식마당쇠 2019. 10. 14.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강제저축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그 내용은 저축을 위해 선저축을 하고 후지출을 한다는 이야기 인데요 아마 재테크 공부를 해본 월급쟁이들 이라면 귀가 따갑도록 들은 말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인 선저축의 비율은 50프로 이상으로 잡는 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럼 과연 어떻게 선저축 후지출의 습관를 기를 수 있을까요??

먼저 큰 욕심을 내지않고 짧은 시간동안 만이라도 실천하는 시간을 가지는게 좋지않을까 싶어요. 저같은 경우는 여러 책에서 읽은 내용에 21일 정도면 습관이 자리자는 최소 시간이라고 하더라구요.
왜 21일일까 하는데 미국의 언어학자 존 그라인더 라는 사람과 심리학자 리처드 밴들러의 'NPL이론'이라는것으로 설명하길 21일 정도 의식적인 행동을 반복하게 되면 그때부터 뇌가 행동을 기억해서 습관으로 형성하게 된다고 해요.

그리고 다음으로는 나도 모르는 공돈을 잘 찾아보는것이 중요할것 같아요.
이말은 즉슨 한달 벌어서 살기도 빠듯한데 21일동안 강제저축을 어떻게 하냐라고 하는 분들에게 공돈을 찾아내 강제저축하라는 말이에요. 공돈이라 함은 공짜로 생긴돈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헛되이 쓰이는 돈, 카드 캐쉬백 금액, 앱테크로 모은돈, 사소하게 담배값을 절약한거 모든것을 포함 할 수 있으니까 이런 작은것 부터 아끼는게 중요 한것 같아요 .^^ 저도 이것 때문에 술을 끊어보기로 시작했답니다.그러니까 약 20~50만원이라는 짜투리 돈이 어마어마 하게 생기더라구요. 그렇기 때문에 공돈을 어떻게 만들지 불평보다는 자세히 생각해보면 내가 하고 있는 불합리적인 지출이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해요^^

이제 공돈이 생겼으면 앞에서 말한것 처럼 21일의 강제저축 방법을 구축해야 되는데
1. 매일  강제저축이 가능한 규모를 산정한다.
2. 공돈을 만들기위한 공돈 적금을 만들어본다
3. 매일 공돈을 21동안 공돈적금에 강제저축한다.
4. 21일후에 지출 변화를 꼭 체크한다.
5. 21일 강제저축에 성공 했다면 21일 단위로 한번더 반복 해본다.
6. 또 성공했다면 1년동안 계속 반복해본다^^

이렇게 시작은 21일 이지만 계속적인.실천으로 1년 2년간 반복하다 보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거라 생각해요 몸과 돈은 투자한 시간을 배신하지 않는 거라고 누가 말하더라구요^^

저같은 경우는 공돈적금의 이름은 금주 적금으로 만들어서 꾸준히 저축을 한 1년전 부터 하고 있어요.
그러니까 21일간 최소 20만원정도만 아껴도 1년이면 엄청난 나만의 목돈이 마련되더라구요. 이 돈으로 태어날 아이의 선물도 사고 제 취미에도 투자를 할수 있었어요. 첫 강제저축은 이렇게 가족에게 소비로 써버렸지만 두번째 세번째부터는 가족을 위한 저축으로 써볼까 합니다^^

 



댓글